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아나코 캐피탈리즘
(r8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주류 아나키즘과의 비교 == >We must therefore conclude that we are not anarchists, and that those who call us anarchists are not on firm etymological ground, and are being completely unhistorical.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가 아나키스트가 아니며, 우리를 아나키스트라 부르는 사람들은 확고한 어원적 근거를 갖고 있지 않고, 완전히 비역사적이라는 결론을 내려야 한다. > ---- > [[머리 로스바드]] [[https://mises.org/mises-daily/are-libertarians-anarchists|#]] [[반자본주의]]적 기조를 띠는 주류 [[아나키즘]]과는 다르게 미국의 아나코 캐피탈리즘은 기본적으로 [[자본주의]]적 경향이 다분하며 역사적으로 아나키즘은 [[좌파]], 특히 그 중에서도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에 기반한 [[극좌]]의 위치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좌파 아나키스트 진영에서 아나코 캐피탈리즘과 같은 [[우파]] 아나키즘은 제대로 된 아나키즘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이러한 시선과는 별개로 아나코 캐피탈리스트들은 스스로를 아나키스트라고 지칭한다. 개인주의 아나키즘을 아나코 캐피탈리즘으로 정교하게 발전시킴으로써 개인주의 아나키즘의 새로운 철학적 토대와 현대적 실현방안을 제시했다고 평가받는 미국의 경제학자 머리 로스바드는 스스로를 "우파 지향적 아나키스트"라고 지칭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자유시장경제를 추구하는 성향 때문에 많은 미국의 아나키스트들은 우파적인 성향을 띈다. 대표적인 학자가 선술한 로스바드의 직계 제자라고 볼 수 있는 [[한스-헤르만 호페]](Hans-Herman Hoppe)인데 로스바드의 방법론을 이어받아 자연법 논리에 기반해 아나코 캐피탈리즘을 발전시켰으며 대표적인 저서로는 정치와 민주주의의 기능을 완전히 부정하고 순수 시장으로만 유지되는 새로운 사회로 나아갈 것을 주장하는 [[http://www.cfe.org/pubs/pubsDetail.php?cid=mn2008120115&pn=3&idx=262|민주주의는 실패한 신인가(Democracy: The God That Failed)]]가 있다. 다만 모든 미국의 아나코 캐피탈리스트들이 벤저민 터커[* 다만 터커 본인은 스스로를 아나코 공산주의자라고 주장하였다.], 라이샌더 스푸너, 머리 로스바드를 필두로 한 철학적 아나키스트들은 아니다. [[데이비드 D. 프리드먼]]처럼 철학적 방법론을 회의적으로 보고 경제학적 방법론을 도입해 공리주의적 측면에서 어째서 무정부 체제와 순수시장경제가 더 효율적으로 인간의 자유를 보장해주며 경제의 발전을 이끄는가를 증명하려고 하는 학자도 있다. 로스바드로 대표되는 미국의 경제학적 아나키스트들은 사실상 [[오스트리아학파]]의 입장을 극단적으로 대변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한데 특이하게 프리드먼은 아버지 [[밀턴 프리드먼]]의 그림자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것은 아닌지 주류 경제학에 속하는 [[시카고학파]]의 입장에서 아나키즘을 옹호한다. 북미권에선 아나코 캐피탈리스트들 중에는 투표 자체를 거부하며 지역 계몽부터 시작하자는 쪽도 많으나 현실을 감안하여 정당을 지지하는 경우 [[자유당(미국)|자유당]]이 1순위 선호 정당이고 간혹 주류 정당 중에선 [[공화당(미국)|공화당]]과 연대하기도 한다.[* 유럽의 좌익 아나키스트들이 [[시리자]] 같은 급진좌파들과 연대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아나코 캐피탈리즘은 [[우파 자유지상주의]]의 한 갈래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시장 자유주의]] 성향의 공화당에 더 이끌리는 경우가 많다.] 공화당과 연대하는 미국 아나키스트로는 미제스 연구소의 [[https://www.facebook.com/LewRockwell?fref=ts|류 록웰]]이 있다. 전직 군인이자 반전 운동가, [[마약]] 합법화 운동가이며 공화당의 공천을 받아 미국 총선에 출마하려고 했던 [[https://www.facebook.com/ADAMVSTHEMAN?fref=ts|애덤 코케시]]도 33세라는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미국의 자유지상주의|미국 자유지상주의]]의 이론적인 부분에 관해서는 [[우파 자유지상주의]] 문서나 [[오스트리아학파]] 문서 참고. 전자는 [[로버트 노직]]의 최소국가주의적 자유지상주의가 아니라 로스바드의 아나코 캐피탈리즘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작성된 문서이며 후자는 미국 자유지상주의자들의 사회과학적 입장과 사실상 완전히 동일한 시장근본주의적 경제학파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